지난 14년간 홈서버를 돌린다고 방안에 컴퓨터를 켜둔채 살았다.

얼마전에 IDC에 입주하면서 홈서버를 셧다운 시켰다. 그래서 기념으로 그동안 홈서버를 운영하면서 겪었던 일들을 기록해 두고자 한다.

1. 지난 14년간 홈서버를 돌린다고 방안에 컴퓨터를 켜둔채 살았다.

지금처럼 가정용 나스(NAS)기기도 없었고, 이메일도 용량 30MB만 지원하고 POP3도 안되고, 심지어 닷컴붕괴와 함께 서비스종료 및 정책변경이 흔히 있었던 2002년. 불편하고 불안한 인터넷 환경속에서 내 갈길을 가겠다며 직접 이메일 서버,웹서버,FTP서버를 만들어서 돌리기 시작했다. 그리고 그때 k-june.com 도메인도 같이 구입하였다. 서버는 펜티엄3-450Mhz Katmai에 인터넷 회선 속도는 다운로드 10Mbps 업로드 1Mbps짜리 두루넷 케이블 모뎀이었다. 그때는 전화요금 걱정없는 전용선으로 24시간 마음껏 사용할 수 있는 인터넷 환경에 이것저것 꾸밀 수 있는 나만의 공간이 있다는 것만으로도 큰 행복이었다. PC통신시절 호롱불,밀키웨이,곰주인같은 사설BBS 호스팅 프로그램에 비하면 아파치,MySQL,PHP는 장족의 발전이었고 그 활용도는 무궁무진했다.

그리고 얼마후 군대를 갔다. 컴퓨터를 켜둔 채로…
중간에 몇번 다운되기도 하였지만, 그럭저럭 잘 버텨주었다. 전역후에는 서버를 리눅스로 바꾸고, 그 후에 서버 업그레이드도 하고, 인터넷 회선도 FTTH광케이블로 바꾸면서 지금껏 유지시켜 왔다. 그렇게 14년이 흘렀다.

검은색 빅타워 컴퓨터 케이스 소나무 R910의 모습

홈서버 사진. 케이스는 그 유명한 3Rsystem의 소나무(R910)이다.

2. 하지만 전기요금에 대한 압박이 컸다.

전기요금에 대한 부담은 처음부터 있었다. 한달에 2~3만원정도? 그냥 하나의 서비스 요금이라고 생각하면 충분히 감당할 수 있긴 했다. 하지만 여름에는 에어컨 때문에 누진세의 영향을 엄청나게 받았다. 심지어 한달에 30만원 나온 적도 있었다. 지금은 서버의 파워를 80PLUS Platinum으로 바꾸고, 집안의 각종 전기제품들의 전력소모량을 정확하게 측정해서 불필요한 것들은 꺼버리고, 집안의 전구들도 전부 LED로 바꾸어서 여름에는 14만원, 그 외에는 6~7만원 정도 나온다. 그래도 혼자 사는 사람 치고는 매우 많이 나오는 편이다.

3. 그리고 집을 비웠을 때 서버가 다운되면 매우 난처했다.

이상하게도 컴퓨터 뿐만 아니라 집안의 가전제품들은 나만 없으면 고장이 난다. 다른 가전 제품이야 A/S를 맡기면 되지만 서버는 그럴 수가 없었다. 집안에 가족이 있을 때에는 전화로 서버 리셋이나 공유기 리셋을 부탁하는 경우도 자주 있었고, 전원타이머를 이용해서 자동으로 일주일에 한번씩 15분간 전원을 껐다가 켜기도 했다. 게다가 앞으로 전세계를 여행다니면서 일하고 싶다는 생각을 계속 해오고 있기 때문에 집안에 이렇게 신경써야 할 존재들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노력 중이다.

4. 뿐만 아니라 유동IP등 여러 기술적인 제한들도 다소 불편했다.

원칙적으로 가정용 인터넷은 유동IP라서 언제든지 IP가 바뀔 가능성이 있었다. 그래서 처음에는 WowDNS나 DNSever같은 DynamicDNS 서비스를 사용했다. 물론 KT FTTH로 바뀐 뒤에는 거의 5년동안 IP가 바뀌지 않아서 뻔뻔하게 bind9까지 설치해서 네임서버까지 돌렸다. 그리고 케이블모뎀 시절에는 속도가 비대칭이라 다운로드는 10Mbps인데 반해 업로드 속도는 1Mbps에 불과했기에 지금 생각해보면 참 열악했는데, 그래도 56K모뎀에 비하면, 1Mbps는 T1급 회선 속도라며 위로하고 살았었다.

5. 그 사이 인터넷 세상은 구글의 등장으로 급격하게 바뀌었다.

지메일(Gmail)의 등장은 이메일계의 혁명 같은 것이었다. 당시 파격적인 용량인 1GB 메일함을 선보이면서 동시에 POP3나 IMAP같은 고급 서비스도 아무런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 그 전에는 메일함이 꽉 차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비워줘야 했고, 아웃룩으로 POP3를 사용하려면 별도의 요금을 내야 했는데, 지메일의 등장으로 모든 것이 해결되었다. 굳이 개인서버가 없더라도 편리한 인터넷환경이 점점 가능해지고 있었다.

5. 그래서 오랫동안 호스팅을 알아봤는데 여러가지 조건들이 맞지 않았다.

여러 회사의 각종 호스팅 서비스들을 알아봤는데, 조건들이 맞지 않았다.
일단 서버 입주 하는 것 자체가 1U,2U같은 랙 규격에 맞아야 하고, 데스크탑을 그대로 넣으려면 꽤 많은 비용이 들어갔다. 그리고 Dedicated나 코로케이션은 너무 비싸다. 기본적으로 월 유지비가 10만원이 넘었다. 트래픽 허용량도 너무 적었고, 추가 요금도 부담스러웠다. 기업용이면 몰라도, 그저 개인 이메일 좀 받고, 소소한 블로그를 위한 웹사이트를 돌리기에는 너무 부담이 컸다.

6. 하지만 요즘 나오는 클라우드 서버호스팅은 경쟁력이 매우 높았다.

이전 글에도 썼지만, 클라우드 서버호스팅은 여러 장점이 많았다. 게다가 결정적으로 가격이 매우 저렴했다. 가볍게 스마트폰 게임하나 깔아서 현질하는 마음으로 클릭했다가 어,이거 대박이네 싶어서 순식간에 추진해서 IDC에 입주했다.

7. 홈서버를 완전히 포기하지는 않을 것 같다.

개인적으로 나스(NAS) 한대정도는 집에 있는게 좋은 것 같다. 24시간 작동해야 하는 웹서버와 메일서버는 IDC에 넣는다 하더라도, FTP같은 것들은 WOL기능으로 필요할 때에만 켜서 작동시키면 되니까 전기요금 부담도 없다. 그리고 마인크래프트서버, 비트코인XT노드 형성, 이더리움 PoS(Proof of stake)등을 위해서도 고용량 서버 한대는 필요하다. 이 문제는 차차 생각하기로 하자.

49 thoughts on “지난 14년간 홈서버를 돌린다고 방안에 컴퓨터를 켜둔채 살았다.

  1. 황규호

    안녕하세요.
    글 잘 읽었습니다.
    저도 서버 하나 구축하고 싶어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제가 커뮤니티 사이트 서버를 한번 시험적으로 구축해보고 싶습니다.
    잘 되면 많은 사람들이 올 것이고 아니면 개인용 컴퓨터로 용도 변경 하려고 합니다.
    보통 홈 서버 구축할때 cpu 좋은거로 맞춰야할까요?
    제가 지금 생각한 cpu가 i7인데 이정도면 몇명정도 가입자까지 버텨줄까요?
    그리고 전기세 생각해서 i5 u계열이나 체리트레일 아톰 쪽 씨피유도 생각중인데 이런 씨피유로는 성능이 너무 부족하지 않을까요?
    1초에 몇명 정도 작업까지 쾌적하게 수용 가능할까요?
    제가 생각하는 사이트는 이미지랑 텍스트 위주고 동영상은 없습니다.
    나중에 사람들 일정 숫자 이상 오면 idc 이주 등도 생각중입니다.
    최적화 했을때가 궁금합니다.
    그리고 n455라는 펜티엄 4급의 넷북도 있는데 이거로도 초당 50명 정도는 렉없이 처리 가능할까요?
    그리고 대충 몇명이 실접속자일때 초당 50건 정도의 작업을 처리할까요?
    질문이 좀 많지만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Reply
    1. 이승에서의추억 Post author

      보통 홈서버 구축할 때에는 오래되어서 남는 CPU를 이용합니다. i7 몇세대인지는 모르겠지만, 1세대라고 해도 엄청나게 고스펙입니다. 집에 있는 6년된 i5-750으로 새 서버 돌리려고 알아봤는데, 하루 10만명도 가능하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오히려 네트워크 트래픽이 더 신경이 쓰이더군요. 고로 i7이면 하루에 수십만 방문자에 1초에 100명이상도 가능하지 싶습니다. 그리고 전기요금을 고려하신다면 아톰이나 기타 저전력 시피유도 충분히 괜찮은 선택입니다. 그리고 구글 애널리틱스 접속자를 보니까 5분정도를 실접속자로 간주하는 것 같더군요. 고로 초당 50명이면 실접속자 만오천명이겠네요. 펜티엄4급 넷북이 어느정도 성능인지는 모르겠지만, 시험적으로 웹서버 구축하기에는 충분해 보입니다.

      Reply
  2. osm

    nas정도면 저전력 라즈베리파이를 상시 가동하는것도 나쁘지 않아 보입니다.

    Reply
    1. 이추 Post author

      아, 저도 기억나네요.ㅎㅎ ‘지메일은 메일함을 비울 필요가 없습니다’라고 했던 광고도 생각나네요.

      Reply
  3. PG

    PC통신 시절은 아니지만 닷컴 열풍이 한창일때 홈페이지 만들어서 용돈벌이를 했었는데 그때 웹서버가 가지고 싶어서 PC로 이런 저런 설정을 해보던게 생각나네요.

    비슷한 추억을 가지고 계신것 같아 몇자 끄적이고 갑니다. ^^

    Reply
  4. kwon

    글 잘읽었습니다. 저는 라즈베리파이 이용해서 서버 구축해보려하는데
    라즈베리 하드도 따로 나왔다고 하더군요
    암튼 글이 좋아서 댓글 달아봤습니당 ~ ㅎㅎ

    Reply
  5. intel2001

    글 재미있게 잘 읽었습니다. 개인서버 운영이 작은 꿈인 아재인데요 집에서 켜놓는건 좀 무리일거 같고 NAS는 속도가 걱정일거 같고 가상서버 운영인데 뭔가 부족한 느낌이랄까요..

    Reply
    1. 이추 Post author

      하드웨어쪽도 관심있으시면 개인서버가 낫고 전기요금이 부담되시거나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이 중점이시라면 클라우드서버 추천드립니다.

      Reply
  6. 고정훈

    우연히 구글 통해 들어와서 마음에 와닿는 글을 읽었습니다.
    하나하나 모험이지만 값진 경험이고 참 행복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막 4년차 된 모바일앱 개발자지만, ‘나만의 서비스’를 만들고 싶어 웹서버(spring)도 직접 구축하여 외부 서버호스팅 업체를 통해 조금씩 운영해보고 있는데요.
    단순 데이터 통신이라 트래픽 부담도 없고, 서버호스팅 이상 수익을 안겨주어서 재미는 느끼고 있습니다.

    조금 더 나아가 이미지를 다루는 서비스를 만들dj보려 하는데 트래픽도 트래픽이지만 저장공간에 대한 고민이 있다보니 글쓰신분처럼 집에 서버를 하나 세팅하여 운영해보면 어떨까 라는 작은 로망을 가지고는 있습니다.
    걸리는 것이 말씀처럼 유동IP에 대한 대처와 물리적으로 전원이 OFF 되었을 때의 대처랄까요 ^^..
    한명의 유저라도 원할한, 유익한 서비스를 제공해주고 싶은 작은 욕심이 있습니다.
    클라우드는 무료라고 하여 짧게 경험해봤는데, 세팅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트래픽만으로도 몇만원의 과금이 이루어지길래 식겁하고 취소한 기억이 있네요.
    백Gb이상, 테라정도의 저장공간이 필요하다면 개인서버 운영도 좋은경험이 될까요?

    물론 서비스가 잘되고 안정적인 수익의 보장이 된다면 비용을 지불하여 맡기는게 마음편하겠지만요 ^^..

    Reply
    1. 이추 Post author

      하드 용량이 클 경우에는 집에서 개인서버 운영 강추합니다.^^
      유동IP문제는 Dynamic DNS 서비스를 사용하셔야 할 것 같고, 원격 전원 ON/OFF 같은 경우는 요즘 스마트 콘센트가 잘 되어 있어서 그것을 이용하면 될 것 같네요.
      그리고 하드디스크 고장이 자주 발생하므로 RAID구성을 하시기를 권해드립니다.

      Reply
  7. sch

    안녕하세요, 중간에 마인크래프트 서버이야기가 나와서 질문드립니다.
    요즘에 서버하나 구축하는김에 마인크래프트 서버도 같이 구축하려는데요, 어떤 방식으로 구축하셨는지 알수있을까요?

    Reply
  8. 김태원

    안녕하세요! 저는 마인크래프트 서버를 열고 있는 학생입니다

    현재는 말씀하신 클라우드 호스팅을 통해 서버를 열고 있긴 합니다
    또한 마인크래프트 서버와 함께 nas처럼 호스팅을 사용중이여서 ssd 부족 문제가 있더라구요..

    그래서 집에 용량 넘쳐나는 노트북으로 홈서버 구축해서 파일도 저장하고 마크 서버도 열 계획인데,
    차라리 호스팅 ssd를 올리는게 나을까요, 아님 그냥 홈서버 구축하는게 낳을까요..? 궁금합니다

    Reply
    1. 이추 Post author

      이미 호스팅 서버에 마인크래프트가 구축되어 있다면 SSD를 업글하는 편이 간편해 보이긴 합니다만…
      다만, 마인크래프트 서버는 램용량도 커야 하고 CPU자원도 많이 먹는데다 여기에 SSD까지 추가한다면 호스팅 비용도 꽤 만만치 않을 것입니다. 고로 호스팅 비용과 전기요금등을 잘 비교해서 결정해야 할 것 같네요.
      SSD용량이 매우 부족해서 그냥 홈서버로 NAS를 구축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호스팅 서버는 끄고 홈서버에다가 NAS와 마크서버를 함께 돌리는 것이 경제적이겠네요.

      Reply
  9. 민수호

    안녕하세요 글 잘 읽었습니다.
    저도 집에 안쓰는 노트북으로 커뮤니티 사이트를 운영해보려고 하는데 웹서버구축할때 어떤 os를 사용하는게 좋나요? (어려운 os도 상관없습니다.)

    Reply
      1. 민수호

        그리고 무료 ddns 서비스 추천좀 해주세요. wowdns 사용하려고했는데 운영종료되고 DNSever, DynamicDNS는 유료라서 ㅠㅠ

        Reply
        1. 이추 Post author

          ddns 서비스는 잘 모르겠네요. 요즘은 공유기 회사에서 제공해 주는 경우도 있고, 도메인 등록하는 곳에서 제공해 주는 경우도 있으니 한번 확인해 보세요.

          Reply
  10. goldenboy

    안녕하세요 와. 정성스러운 포스팅과 정성스럽게 달아주신 대댓글에 감탄하면서 저도 댓글을 씁니다. ^^

    저는 얼마전 네이버 블로그로 it계열 블로깅을 꾸준히 해왔는데요. 에드센스와 wordpress에 대해서 배우고 싶어서 인터넷 100메가속도 환경에서 집에 있는 synology nas ds 213j라는 모델(cpu: marvell kirkwood 1.2ghz, 램: ddr3 512mb, 하드 ssd 256기가)에 설치하였는데요.

    이 정도면 쾌적한 환경에서 하루에 몇명정도까지 접속시킬 수 있을까요? 지금 방금 블로그를 만들었고 혼자서 쓰고 있지만 성능에 대한 내용을 찾기 어려워서 질문드립니다. ㅎㅎ

    Reply
    1. 이추 Post author

      저도 비슷한 고민을 해서 예전에 이것저것 계산을 해봤습니다. 이 블로그를 운영하는 서버가 1CPU, 1GB Ram, 1TB 데이터/월, 25GB SSD인데 하루 방문자 3만명 정도까지는 증설할 필요가 없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제일 제약되는 부분이 월1TB데이터 용량이었는데 집에서 홈서버로 운영하신다면 그 부분은 크게 문제될 것 같지는 않네요. 고로 하루에 만명단위의 접속은 충분히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문제는 동시접속자입니다. 블로그 방문자는 24시간중에서 특정 시간대에 많이 몰려 있습니다. 수십명 정도의 동시접속자는 별 문제가 없었지만, 만약 수백명 단위가 되면 일시적으로 접속이 힘들어 질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물론 그 정도 되면 애드센스 수익도 엄청날 것이기 때문에 전혀 걱정할 것이 없습니다.

      Reply
    2. 디지털미

      몇명정도 까지는 조금 애매합니다.
      하루에 만명이 들어와도 나눠서 들어오면 관계없는데, 동시에 500명이 접속한다?
      접속은 버틸 수 있으나, 500명이 동시에 사이트에서 어떤 쿼리를 날리는 작업을 계속 한다 그러면
      뻗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즉 방문자수랑, 동시접속자 수와 개념이 다릅니다.

      일례로, 어떤 특정 행사 홈페이지를 만들었는데 동시접속 1600명 까지 들어온 적이 있었는데 잘 버텨줬던 제 서버 사양은 이렇습니다.

      1231v3 / 24gb ram / ssd 256 / 1기가 회선 / apache2 / mysql

      Reply
  11. vulcan

    안녕하세요. 같은 고민으로 오게되었습니다.
    지금 호스팅 업체(cafe24) 서버에 홈페이지 운영중입니다.

    개인적으로 데스크탑 채팅앱을 만드려고 하는데,
    클라이언트/서버 모두 c++로 접근하려고 합니다.
    웹에 초보라 c++ 서버 앱을 업체 서버 컴에서 어떻게 구동시켜야 하는지 감이 잘 안와서요.

    그래서 개인 서버를 만들어야 하는지 고민하고 있습니다.
    아니면 php와 같은 서버 스크립트 언어로 짜야 하는 것인가요?

    Reply
    1. 이추 Post author

      채팅 프로그램은 언어별로 굉장히 많은 종류가 있던데 C++쪽은 제가 잘 모르겠네요. C++뿐만 아니라 파이썬 등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실 거라면 웹호스팅이 아닌 클라우드서버로 이용하셔야 겠네요. 개인 서버를 이용하셔도 됩니다.

      Reply
  12. 디지털미

    서버 5개를 돌리는 중입니다. IDC에 입주하려니 요금이 엄청나더군요.
    그래서 지금은 월세 15만원 짜리 조그마한 사무실 얻어서 LG 오피스넷으로 고정 IP 5개 받고 직접 서버전용 사무실로 운영하며
    집에서 자택근무를 합니다.(오피스넷은 아파트에 안 들어오더군요)

    결론적으로 공부도 많이 되고, 부지런해지고, 비용도 더 절감되었습니다.
    무엇보다 트래픽 과금으로부터 자유로워졌습니다.
    이래저래 전기세나 회선비나 임대비 해서 50만원 안팎인데

    트래픽 생각하면 서버 5개를 IDC에 맏길바에 아예 이렇게 운영하는 방법도 방법이긴 합니다.

    Reply
    1. 이추 Post author

      5대면 상당히 큰 규모네요. 사무실을 얻어서 LG오피스넷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군요. 찾아보니 가격도 가정용 인터넷 요금과 크게 차이나지 않고 꽤 합리적이고 좋아 보이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Reply
      1. 디지털미

        상담히 큰 규모라기 보다는 한 서버당 여러 홈페이지들이 가상호스팅 되어 있어서 나누었습니다. ㅎㅎ
        한 서버당 대략 10개 회사 홈페이지나 서비스들이 호스팅 되어 있고요.

        트래픽 제한이 없어지니 행복해졌습니다 ㅎㅎ

        Reply
  13. 이멀젼씨

    구글에서 개인용 서버 검색하다가 들어오게 되었습니다.
    개인용 서버 구축에 몇가지 궁금한 점이 있어 여쭤봅니다.

    1.사용하지 않는 컴퓨터(i7 2600 / 램 16G / 256SSD) 를 서버로 사용하려 합니다. 충분할까요?
    2. 컴퓨터를 끄지 않고 운영하려면 안정적인 제품이 필요할 것 같은데, 파워는 주로 어느제품 사용하셨나요?
    3. 현재 100Mbps 인터넷을 사용중인데 웹 서버 호스팅을 한다고 할때 충분할까요?

    Reply
    1. 이멀젼씨

      아 그리고 혹시 flooding이나 디도스와 같은 공격에는 어떻게 대처하셨는지도 궁금합니다

      Reply
      1. 이추 Post author

        1. 컴퓨터는 개인용 서버로 사용하기에 매우 충분합니다. 그 정도의 컴퓨터를 IDC에서 사용한다면 한달에 수십만원이 들 정도로 고사양입니다.
        2. 파워는 그냥 80PLUS Gold이상으로 500W급 정도로 사용했습니다. 안정성도 중요하지만 전기요금에 더 신경이 쓰였습니다. 특별히 선호하는 브랜드는 없습니다.
        3. 100Mbps인터넷의 경우 업로드 속도도 100Mbps가 나오는지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비대칭인 경우 업로드 속도가 형편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업로드도 100Mbps라고 가정할 경우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웹서버로 충분합니다. 하지만 접속자가 많이 몰리거나 고용량 이미지/동영상등이 포함될 경우 조금 부족할 수도 있습니다.
        4. 기본적인 보안은 fail2ban을 사용합니다. 그리고 무작위 ip로 접근하는 경우가 굉장히 많습니다. 그래서 도메인명으로 접근하지 않고 ip주소로 접근할 경우에는 반응하지 않거나 우회시켜 버리도록 설정해 두었습니다. 가정용 서버일 경우 공유기를 통하게 될 테니 공유기의 여러 보안 기능들을 적극 활용했고, 꼭 필요한 포트번호만 오픈하거나 포트포워딩을 하기도 했습니다. 물론 ssh포트는 22번이 아닌 다른 포트로 변경하는 것도 필수이고요.

        Reply
  14. Diamond

    와…유익한 글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서버운영을 어떻게 해아할지 이래저래 고민중입니다 ㅎㅎ

    Reply
    1. 이추 Post author

      서버운영이 쉽지가 않죠. 그 과정에서 수많은 블로그의 글들과 커뮤니티의 글들을 읽으실텐데, 그 와중에 제 블로그도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ㅎㅎ

      Reply
  15. 얏홍

    흘러흘러 여기까지 왔습니다.
    라즈베리파이4로 웹서버를 구동하고 싶은데 관련지식이 부족한터라 검색을 한다곤 하나 명확한 길을 찾기 힘들어서 여쭈어봅니다.
    https://wikidocs.net/16276
    여기와 같은 방식으로 셋팅 한 후에 포트포워딩만 하면 외부에서도 접속이 가능한 제 웹페이지를 할 수 있는지요?

    Reply
    1. 이추 Post author

      충분히 가능해 보입니다. 어쩌면 이미 서버 가동중이실지도..ㅎㅎㅎ 링크의 내용은 CentOS와 Tomcat의 설정방법인 것 같은데, 기본적으로 포트포워딩만 제대로 설정하면 별 문제없이 잘 됩니다. 설정 후에 127.0.0.1(ipv6의 경우 ::1)으로도 테스트 해 보시길.

      Reply
  16. 지나가다 유익하게 읽고 갑니다
    뭔가 정말 다른 세계의 이야기를 듣는 기분이랄까 재밋네요 ㅎㅎ

    Reply
  17. Jung

    요새 홈서버 구축에 관심이 생겨서 여기저기 정보좀 찾아보고 있었는데 좋은 글을 찾았네요. 잘 읽었습니다 :)

    Reply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